주요 15개 대학 신입생 중도탈락 5,390명...중도탈락률 두 자릿수(10.1%) 돌파!
지난 9월 대학알리미에서 공시한 2023년 대학 및 학과별 중도탈락 분석결과, 주요 15개 대학 및 인서울권 중하위 대학 등 인서울권 대학 전체의 신입생 중도탈락이 급증하여 2025학년도 편입선발 전망을 밝게 하고 있다. 대학알리미에 따르면 2023년 주요 15개 대학의 신입생 중도탈락은 5,390명으로 최근 2년간 982명(22.3%) 증가했으며, 재적생 대비 신입생 중도탈락률도 10.1%를 나타냈다. 신입생 중도탈락(명)은 경희대가 532명으로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는 중앙대 531명, 고려대 474명 순이었다. 중도탈락률은 중앙대(12.8%)가 가장 높았으며, 다음으로 한국외대(12.1%), 서강대(11.5%) 순이었다. 신입생 중도탈락이 가장 낮은 서울대도 2021년 148명에서 2023년 225명으로 52.0% 증가하여 신입생 중도탈락이 점차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처럼 상위권 대학의 신입생 중도탈락 증가는 2022학년도 약대 신입학 선발을 포함한 의약대 입시 붐, 반도체 등 최첨단학과 신설, 자율전공, 수능 문·이과 통합, 높은 정시 비중 등 재수 및 반수 요인 증가에 따른 것이다. 이는 25학년도 의대 증원 이슈가 반영되지 않은 수치이므로 내년(2024년 기준)에는 신입생 중도탈락이 더욱 가파르게 올라갈 것으로 보인다. 인서울권 중하위 신입생 중도탈락도 동반 급증 인서울권 대학에서 주요 15개 대학을 제외한 인서울권 중하위 대학의 신입생 중도탈락은 4,754명으로 전년 4,051명에 비해 703명(17.4%) 증가했다. 신입생 중도탈락(명)은 가천대 380명으로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세종대 331명, 국민대 326명 순이었다. 중도탈락률은 동덕여대(15.7%)가 가장 높았으며, 다음으로 덕성여대(15.0%), 성신여대(13.4%) 순이었다. 여자대학을 제외하면 세종대, 광운대 순이었다. 주요 15개 대학과 인서울권 중하위대학을 합친, 인서울권 대학의 신입생 중도탈락은 10,144명이었으며, 중도탈락률은 9.9%로 나타났다. 인서울권 대학의 10명 중 1명이 중도탈락을 하는 셈이다. 일반편입이 전년도 1, 2학년 중도탈락 인원을 충원하기 위한 입시제도임을 생각한다면, 2025학년도 편입모집은 2023년 중도탈락 인원이 반영되기 때문에 모집 증가가 예상되며, 인서울권 전체 대학의 모집인원 증가가 기대된다. 인문사회 계열 중도탈락 급증...이과 선호가 이유인 듯 대학알리미에서 공시한 계열별 중도탈락(전체학년)은 자연계열(공학, 의약학, 자연과학 계열 합)의 중도탈락이 인문사회 계열보다 더 많았다. 그러나 인문사회 계열의 중도탈락 급증이 두드러진다. 인서울권 대학의 인문사회 계열 중도탈락(전체학년)은 9,390명으로 전년 8,348명 보다 1,042명(12.5%) 증가했고, 2년 전 7,686명 보다 1,704명(22.2%) 증가했다. 이는 문·이과 통합에 따른 교차합격(자연계열에서 인문계열로 합격)과 대학 합격 후, 이과 선호에 따른 급격한 이탈로 보인다. 같은 기간 공학 계열과 자연과학 계열은 소폭 하락했다.
인서울권 대학의 중도탈락 급증으로 특별한 제약(첨단산업학과의 정원 내 신설 등)이 없다면, 2025학년도 편입은 상위권대학부터 인서울권 대학까지 편입 규모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과 계열의 중도탈락이 많아서 전체적으로는 자연계열 편입선발이 더 많겠지만, 인문사회 계열 중도탈락이 급증함에 따라, 인문계열의 편입선발 규모도 증가할 것이다. 전공과 대학을 변경하는 방법은 신입학과 편입학이 있다. 인서울권 신입생의 10명 중 1명이 이탈하는 현재 시점에서, 재수와 반수를 맹목적으로 고려하기보다는 대학에서 대학 3학년으로 진학하는 편입학을 고려해보는 것이 더 효율적일 수 있다. < 저작권자 ⓒ 김영편입 진로진학연구소 -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