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이크로프로세서Ⅰ
모집중- 강의교수
- 장윤경 교수소개
- 학점
- 3학점
- 신청기간
- 2024.07.01 ~ 2025.04.08
- 학습기간
- 2025.04.09 ~ 2025.07.22
- 수강료
210,000원
75,000원
- 관련전공
- 전공필수 - 컴퓨터공학
- 전공선택 - 정보통신공학
강좌소개
수업개요 | 마이크로프로세서의 동작원리 및 구조, 기억장치, 마이크로 동작, 레지스터, 전송언어 등을 이해하고, 마이크로프로세서의 응용에 관한 지식을 활용한다. 아울러 On-Chip 마이크로프로세서 칩의 구조, 동작원리, 주변회로에 대한 지식을 습득, 마이크로프로세서를 사용한 키트를 설계 구현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교과목은 마이크로프로세서 개요, 기억장치, 입·출력 장치, 각종 On-Chip 마이크로프로세서의 활용에 관한 내용으로 구성된다. | ||||||||||||||
---|---|---|---|---|---|---|---|---|---|---|---|---|---|---|---|
수업목표 | ● 마이크로프로세서의 필요성과 이론적 기초 및 마이크로프로세서 개요를 확립하여 이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 마이크로프로세서의 동작원리 및 구조에 대해 알아보고 각 구조의 특징을 서술할 수 있다. ● 마이크로프로세서의 전송언어를 이용하여 레지스터, 기억장치 등을 활용하여 마이크로동작을 프로그래밍 할 수 있다. ● 마이크로프로세서의 On-Chip 마이크로프로세서 칩의 구조, 동작원리, 주변회로에 대한 지식을 습득하여 키트를 설계하고 주변장치와 연결하는 데에 응용하여 활용할 수 있다. ● 마이크로프로세서를 사용한 키트를 설계하고 입·출력 장치, 각종 On-Chip 마이크로프로세서를 활용할 수 있다. |
||||||||||||||
평가기준 |
|
||||||||||||||
수료기준 | 출석률80%, 상대평가 (중간고사와 기말고사 모두 미응시 시 미수료) | ||||||||||||||
특이사항 | 1. 수료기준: 총 성적 60점 이상(상대평가), 출석률 80% 이상
2. 평가기준: 출석(15%), 중간고사(25%), 기말고사(25%), 과제(20%), 퀴즈(5%), 토론(10%) 1) 출석: 각 차시별 진도 반영(기간 내 출석으로만 평가) 2) 중간고사: 객관식 20문항, 주관식 5문항 총 25문항(8주차) 3) 기말고사: 객관식 20문항, 주관식 5문항 총 25문항(15주차) 4) 과제: 학습자별 상호 모사율 체크를 통한 평가(9주차) 5) 토론: 학습자 간 의견 제출(3주차) 6) 퀴즈: O,X 퀴즈 5문항(5주차) 3. 성적등급비율: A~A+(20%). B~B+(40%), C이하(40%) / 상대평가 4. 과제 및 토론 주제 1) 과제주제(9주차): 1주차 ~ 7주차 범위 2) 토론주제(3주차): 1주차 ~ 3주차 범위 3) 상세내용은 시작일에 공개되오니 참고바랍니다. |
강의계획서
과목명 | 교수명 | 교수연락처 | 이메일 | 년도/차시 |
---|---|---|---|---|
마이크로프로세서Ⅰ | 장윤경 | 1899-5662 | help@kystudy.co.kr | 2025년 1-8차 |
학습기간 | 강의시간 | 학점 | 평가구분 | 수강대상 강의실 및 주요 수업방법 |
2025년 04월 09일 ~ 2025년 07월 22일 | 15주 | 3 | 상대평가 |
<수강대상>
-고등학교 졸업 이상의 학력자 <주요 수업 방법> -원격강의 (www.kystudy.co.kr/MyCourse) |
평가기준 | ||||||
---|---|---|---|---|---|---|
출석 | 중간고사 | 기말고사 | 과제 | 토론 | 쪽지(OX퀴즈) | 계 |
15% | 25% | 25% | 20% | 10% | 5% | 100% |
과목 수료조건: 총점 60점 이상(60점 미만 F), 출석률 80%이상(출석률 80%미만은 출석과락) |
주요 학사일정 |
|
---|---|
과목개요 | 마이크로프로세서의 동작원리 및 구조, 기억장치, 마이크로 동작, 레지스터, 전송언어 등을 이해하고, 마이크로프로세서의 응용에 관한 지식을 활용한다. 아울러 On-Chip 마이크로프로세서 칩의 구조, 동작원리, 주변회로에 대한 지식을 습득, 마이크로프로세서를 사용한 키트를 설계 구현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교과목은 마이크로프로세서 개요, 기억장치, 입·출력 장치, 각종 On-Chip 마이크로프로세서의 활용에 관한 내용으로 구성된다. |
수업목표 | ● 마이크로프로세서의 필요성과 이론적 기초 및 마이크로프로세서 개요를 확립하여 이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 마이크로프로세서의 동작원리 및 구조에 대해 알아보고 각 구조의 특징을 서술할 수 있다. ● 마이크로프로세서의 전송언어를 이용하여 레지스터, 기억장치 등을 활용하여 마이크로동작을 프로그래밍 할 수 있다. ● 마이크로프로세서의 On-Chip 마이크로프로세서 칩의 구조, 동작원리, 주변회로에 대한 지식을 습득하여 키트를 설계하고 주변장치와 연결하는 데에 응용하여 활용할 수 있다. ● 마이크로프로세서를 사용한 키트를 설계하고 입·출력 장치, 각종 On-Chip 마이크로프로세서를 활용할 수 있다. |
상대평가 안내 |
국가평생교육진흥원의 평가인정 학습과정 운영지침(교육부 고시 제2015-85호,2016년1월6일 제정,2016년1월1일 시행)에 따라 성적 평가가 상대평가로 진행되고 있습니다. 상대평가가 진행됨에 따라 원점수에서 학습자의 순위에 따라 백분율로 산정되며 다시 환산되며, A(20%),B(40%),C 이하(40%)의 비율을 기준으로 성적을 부여합니다. 학습자님들의 점수는 최종 점수조정을 거쳐 순위별로 등급에 배당되게 되며 환산점수로 국가평생교육진흥원에 성적보고가 됩니다. (출석률 80%미만,총점수 60점미만은 과락이며 상대평가에서 제외됩니다.) |
주별 | 차시 | 강의(실습ㆍ실기ㆍ실험) 내용 | 과제 및 기타 참고사항 | |
---|---|---|---|---|
제1주 |
|
|||
1차시 | 차시제목 | 강의소개 및 마이크로프로세서의 개요 |
|
|
학습내용 | - 마이크로프로세서의 개요 - 아두이노 IDE 프로그램 / 엠블록 설치 |
|||
학습목표 | - 마이크로프로세서의 필요성과 동작원리를 말할 수 있다. - 아두이노 IDE 프로그램을 설치할 수 있다. |
|||
2차시 | 차시제목 | 아두이노 IDE 프로그램 사용법 및 기본 부품과 마이크로프로세서 동작 이해 |
|
|
학습내용 | - 아두이노 IDE 프로그램 활용 - 아두이노 기본 부품 |
|||
학습목표 | - 아두이노 IDE 프로그램을 활용할 수 있다. - 점퍼선, 브레드보드를 활용할 수 있다. |
|||
제2주 |
|
|||
1차시 | 차시제목 | 전송언어(C언어) 1 |
|
|
학습내용 | - 변수 및 연산자 - 조건문(if) |
|||
학습목표 | - 변수와 연산자를 제시할 수 있다. - 조건문(if)을 활용할 수 있다. |
|||
2차시 | 차시제목 | 전송언어(C언어) 2 |
|
|
학습내용 | - 조건문(else / else if) - 반복문 및 함수 |
|||
학습목표 | - 조건문(else / else if)을 만들 수 있다. - 반복문 및 함수를 활용할 수 있다. |
|||
제3주 |
|
|||
1차시 | 차시제목 | LED, RGB LED의 이해 |
|
|
학습내용 | - LED, RGB LED - LED 키트 설계 및 전송언어 프로그래밍 (1) |
|||
학습목표 | - LED, RGB LED의 동작원리 및 구조를 서술할 수 있다. - LED를 활용하여 키트를 설계하고 마이크로프로세서 전송언어를 프로그래밍 할 수 있다. |
|||
2차시 | 차시제목 | LED, RGB LED 키트 설계 및 전송언어 프로그래밍 |
|
|
학습내용 | - LED 키트 설계 및 전송언어 프로그래밍 (2) - RGB LED 키트 설계 및 전송언어 프로그래밍 |
|||
학습목표 | - LED를 활용하여 마이크로프로세서 전송언어를 프로그래밍 할 수 있다. - RGB LED를 활용하여 키트 설계 및 마이크로프로세서 전송언어를 프로그래밍 할 수 있다. |
|||
제4주 |
|
|||
1차시 | 차시제목 | 버튼, 가변저항의 이해 |
|
|
학습내용 | - 버튼, 가변저항 - 버튼 키트 설계 및 전송언어 프로그래밍 (1) |
|||
학습목표 | - 버튼, 가변저항의 동작원리 및 구조를 서술할 수 있다. - 버튼을 활용하여 키트를 설계하고 마이크로프로세서 전송언어를 프로그래밍 할 수 있다. |
|||
2차시 | 차시제목 | 버튼, 가변저항 키트 설계 및 전송언어 프로그래밍 |
|
|
학습내용 | - 버튼 키트 설계 및 전송언어 프로그래밍 (2) - 가변저항 키트 설계 및 전송언어 프로그래밍 |
|||
학습목표 | - 버튼에 마이크로프로세서 전송언어를 프로그래밍 할 수 있다. - 가변저항을 활용하여 키트를 설계하고 마이크로프로세서 전송언어를 프로그래밍 할 수 있다. |
|||
제5주 |
|
|||
1차시 | 차시제목 | 조도센서, 온도센서의 이해 |
|
|
학습내용 | - 조도센서, 온도센서 - 조도센서 키트 설계 및 전송언어 프로그래밍 (1) |
|||
학습목표 | - 조도센서, 온도센서의 동작원리 및 구조를 서술할 수 있다. - 조도센서를 활용하여 키트를 설계하고 마이크로프로세서 전송언어를 프로그래밍 할 수 있다. |
|||
2차시 | 차시제목 | 조도센서, 온도센서 키트 설계 및 전송언어 프로그래밍 |
|
|
학습내용 | - 조도센서 키트 설계 및 전송언어 프로그래밍 (2) - 온도센서 키트 설계 및 전송언어 프로그래밍 |
|||
학습목표 | - 조도센서에 마이크로프로세서 전송언어를 프로그래밍 할 수 있다. - 온도센서를 활용하여 키트를 설계하고 마이크로프로세서 전송언어를 프로그래밍 할 수 있다. |
|||
제6주 |
|
|||
1차시 | 차시제목 | 능동부저, 수동부저의 이해 |
|
|
학습내용 | - 능동부저, 수동부저 - 능동부저 키트 설계 및 전송언어 프로그래밍 (1) |
|||
학습목표 | - 능동부저, 수동부저의 동작원리 및 구조를 서술할 수 있다. - 능동부저를 활용하여 키트를 설계하고 마이크로프로세서 전송언어를 프로그래밍 할 수 있다. |
|||
2차시 | 차시제목 | 능동부저, 수동부저 키트 설계 및 전송언어 프로그래밍 |
|
|
학습내용 | - 능동부저 키트 설계 및 전송언어 프로그래밍 (2) - 수동부저 키트 설계 및 전송언어 프로그래밍 |
|||
학습목표 | - 능동부저에 마이크로프로세서 전송언어를 프로그래밍 할 수 있다. - 수동부저를 활용하여 키트를 설계하고 마이크로프로세서 전송언어를 프로그래밍 할 수 있다. |
|||
제7주 |
|
|||
1차시 | 차시제목 | LCD의 이해 |
|
|
학습내용 | - LCD - LCD 키트 설계 및 전송언어 프로그래밍 (1) |
|||
학습목표 | - LCD의 동작원리 및 구조를 서술할 수 있다. - LCD를 활용하여 키트를 설계하고 마이크로프로세서 전송언어를 프로그래밍 할 수 있다. |
|||
2차시 | 차시제목 | LCD 키트 설계 및 전송언어 프로그래밍 |
|
|
학습내용 | - LCD 키트 설계 및 전송언어 프로그래밍 (2) - LCD Scroll 키트 설계 및 전송언어 프로그래밍 |
|||
학습목표 | - LCD에 마이크로프로세서 전송언어를 프로그래밍 할 수 있다. - LCD Scroll을 활용하여 키트를 설계하고 마이크로프로세서 전송언어를 프로그래밍 할 수 있다. |
|||
제8주 |
|
|||
1차시 | 차시제목 | 중간고사 |
|
|
학습내용 | 중간고사 | |||
학습목표 | 중간고사 | |||
2차시 | 차시제목 |
|
||
학습내용 | ||||
학습목표 | ||||
제9주 |
|
|||
1차시 | 차시제목 | 서보모터, 초음파센서의 이해 |
|
|
학습내용 | - 서보모터, 초음파센서 - 서보모터 키트 설계 및 전송언어 프로그래밍 (1) |
|||
학습목표 | - 서보모터, 초음파센서의 동작원리 및 구조를 서술할 수 있다. - 서보모터를 활용하여 키트를 설계하고 마이크로프로세서 전송언어를 프로그래밍 할 수 있다. |
|||
2차시 | 차시제목 | 서보모터, 초음파센서 키트 설계 및 전송언어 프로그래밍 |
|
|
학습내용 | - 서보모터 키트 설계 및 전송언어 프로그래밍 (2) - 초음파센서 키트 설계 및 전송언어 프로그래밍 |
|||
학습목표 | - 서보모터에 마이크로프로세서 전송언어를 프로그래밍 할 수 있다. - 초음파센서를 활용하여 키트를 설계하고 마이크로프로세서 전송언어를 프로그래밍 할 수 있다. |
|||
제10주 |
|
|||
1차시 | 차시제목 | 플렉스센서, 압력센서의 이해 |
|
|
학습내용 | - 플렉스센서, 압력센서 - 플렉스센서 키트 설계 및 전송언어 프로그래밍 (1) |
|||
학습목표 | - 플렉스센서, 압력센서의 동작원리 및 구조를 서술할 수 있다. - 플렉스센서를 활용하여 키트를 설계하고 마이크로프로세서 전송언어를 프로그래밍 할 수 있다. |
|||
2차시 | 차시제목 | 플렉스센서, 압력센서 키트 설계 및 전송언어 프로그래밍 |
|
|
학습내용 | - 플렉스센서 키트 설계 및 전송언어 프로그래밍 (2) - 압력센서 키트 설계 및 전송언어 프로그래밍 |
|||
학습목표 | - 플렉스센서에 마이크로프로세서 전송언어를 프로그래밍 할 수 있다. - 압력센서를 활용하여 키트를 설계하고 마이크로프로세서 전송언어를 프로그래밍 할 수 있다. |
|||
제11주 |
|
|||
1차시 | 차시제목 | 인체감지센서, 충격감지센서의 이해 |
|
|
학습내용 | - 인체감지센서, 충격감지센서 - 인체감지센서 키트 설계 및 전송언어 프로그래밍 (1) |
|||
학습목표 | - 인체감지센서, 충격감지센서의 동작원리 및 구조를 서술할 수 있다. - 인체감지센서를 활용하여 키트를 설계하고 마이크로프로세서 전송언어를 프로그래밍 할 수 있다. |
|||
2차시 | 차시제목 | 인체감지센서, 충격감지센서 키트 설계 및 전송언어 프로그래밍 |
|
|
학습내용 | - 인체감지센서 키트 설계 및 전송언어 프로그래밍 (2) - 충격감지센서 키트 설계 및 전송언어 프로그래밍 |
|||
학습목표 | - 인체감지센서에 마이크로프로세서 전송언어를 프로그래밍 할 수 있다. - 충격감지센서를 활용하여 키트를 설계하고 마이크로프로세서 전송언어를 프로그래밍 할 수 있다. |
|||
제12주 |
|
|||
1차시 | 차시제목 | 수위수분센서, 토양수분센서의 이해 |
|
|
학습내용 | - 수위수분센서, 토양수분센서 - 수위수분센서 키트 설계 및 전송언어 프로그래밍 (1) |
|||
학습목표 | - 수위수분센서, 토양수분센서의 동작원리 및 구조를 서술할 수 있다. - 수위수분센서를 활용하여 키트를 설계하고 마이크로프로세서 전송언어를 프로그래밍 할 수 있다. |
|||
2차시 | 차시제목 | 수위수분센서, 토양수분센서 키트 설계 및 전송언어 프로그래밍 |
|
|
학습내용 | - 수위수분센서 키트 설계 및 전송언어 프로그래밍 (2) - 토양수분센서 키트 설계 및 전송언어 프로그래밍 |
|||
학습목표 | - 수위수분센서에 마이크로프로세서 전송언어를 프로그래밍 할 수 있다. - 토양수분센서를 활용하여 키트를 설계하고 마이크로프로세서 전송언어를 프로그래밍 할 수 있다. |
|||
제13주 |
|
|||
1차시 | 차시제목 | 온습도센서, 가스센서의 이해 |
|
|
학습내용 | - 온습도센서, 가스센서 - 온습도센서 키트 설계 및 전송언어 프로그래밍 (1) |
|||
학습목표 | - 온습도센서, 가스센서의 동작원리 및 구조를 서술할 수 있다. - 온습도센서를 활용하여 키트를 설계하고 마이크로프로세서 전송언어를 프로그래밍 할 수 있다. |
|||
2차시 | 차시제목 | 온습도센서, 가스센서 키트 설계 및 전송언어 프로그래밍 |
|
|
학습내용 | - 온습도센서 키트 설계 및 전송언어 프로그래밍 (2) - 가스센서 키트 설계 및 전송언어 프로그래밍 |
|||
학습목표 | - 온습도센서에 마이크로프로세서 전송언어를 프로그래밍 할 수 있다. - 가스센서를 활용하여 키트를 설계하고 마이크로프로세서 전송언어를 프로그래밍 할 수 있다. |
|||
제14주 |
|
|||
1차시 | 차시제목 | 7세그먼트의 이해 |
|
|
학습내용 | - 7세그먼트 - 7세그먼트 키트 설계 및 전송언어 프로그래밍 (1) |
|||
학습목표 | - 7세그먼트의 동작원리 및 구조를 서술할 수 있다. - 7세그먼트를 활용하여 키트를 설계하고 마이크로프로세서 전송언어를 프로그래밍 할 수 있다. |
|||
2차시 | 차시제목 | 7세그먼트 키트 설계 및 전송언어 프로그래밍 |
|
|
학습내용 | - 7세그먼트 키트 설계 및 전송언어 프로그래밍 (2) - 7세그먼트 키트 설계 및 전송언어 프로그래밍 (3) |
|||
학습목표 | - 7세그먼트를 활용하여 키트를 설계할 수 있다. - 7세그먼트에 마이크로프로세서 전송언어를 프로그래밍 할 수 있다. |
|||
제15주 |
|
|||
1차시 | 차시제목 | 기말고사 |
|
|
학습내용 | 기말고사 | |||
학습목표 | 기말고사 | |||
2차시 | 차시제목 |
|
||
학습내용 | ||||
학습목표 |
수업 참고사항 | 별도 참고사항이 없습니다. |
---|---|
강의 유형 | 이론중심( V ), 토론, 세미나 중심( ), 실기 중심( ), 이론 및 토론, 세미나 병행( ), 이론 및 실험, 실습 병행( ), 이론 및 실기 병행( ) |
교재 정보 |
교재정보 보기
|
수강후기
교재안내
총 0건교수소개

장윤경 교수님
- 직위
- 교수
- 학위
- 전공
- 정보통신공학 / 정보통신 / 컴퓨터네트워크 / 멀티미디어학 / 멀티미디어
- 이메일
- pro395@nate.com
- 주요경력
- 수상경력
- 대표저서/논문
- 기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