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구조
모집중- 강의교수
- 강희영 교수소개
- 학점
- 3학점
- 신청기간
- 2024.07.01 ~ 2025.04.08
- 학습기간
- 2025.04.09 ~ 2025.07.22
- 수강료
210,000원
75,000원
- 관련전공
- 전공필수 - 컴퓨터공학
- 전공선택 - 정보통신공학,컴퓨터네트워크,멀티미디어학
강좌소개
수업개요 | 자료구조의 기본개념을 이해하고, 프로그래밍에서 많이 다루는 자료구조들인 배열, 순차리스트, 연결리스트, 스택, 큐, 트리, 그래프, 해시테이블 등의 개념과 구현방법을 다루고, 정렬 및 탐색알고리즘을 통해 자료구조의 활용을 이해한다. | ||||||||||||||
---|---|---|---|---|---|---|---|---|---|---|---|---|---|---|---|
수업목표 | ● 자료의 표현방법과 기본 연산, 해당 자료구조가 필요한 상황을 설명할 수 있다.
● 배열과 연결 목록의 표현 방법의 차이를 설명할 수 있다. ● 선형 자료구조인 스택과 큐의 표현 방법을 설명할 수 있다. ● 비선형 자료구조인 트리와 그래프에 대한 표현 방법과 문제 해결 방법의 차이점을 설명할 수 있다. ● 다양한 정렬 방법 및 각 알고리즘을 설명할 수 있다. ● 다양한 검색 방법과 각 알고리즘의 차이를 설명할 수 있다. ● 학습한 자료구조를 이용한 실제 응용 프로그램을 설명할 수 있다. |
||||||||||||||
평가기준 |
|
||||||||||||||
수료기준 | 출석률80%, 상대평가 (중간고사와 기말고사 모두 미응시 시 미수료) | ||||||||||||||
특이사항 | 1. 수료기준: 총 성적 60점 이상(상대평가), 출석률 80% 이상
2. 평가기준: 출석(15%), 중간고사(25%), 기말고사(25%), 과제(20%), 퀴즈(5%), 토론(10%) 1) 출석: 각 차시별 진도 반영(기간 내 출석으로만 평가) 2) 중간고사: 객관식 20문항, 주관식 5문항 총 25문항(8주차) 3) 기말고사: 객관식 20문항, 주관식 5문항 총 25문항(15주차) 4) 과제: 학습자별 상호 모사율 체크를 통한 평가(9주차) 5) 토론: 학습자 간 의견 제출(3주차) 6) 퀴즈: O,X 퀴즈 5문항(5주차) 3. 성적등급비율: A~A+(20%). B~B+(40%), C이하(40%) / 상대평가 4. 과제 및 토론 주제 1) 과제주제(9주차): 1주차 ~ 7주차 범위 2) 토론주제(3주차): 1주차 ~ 3주차 범위 3) 상세내용은 시작일에 공개되오니 참고바랍니다. |
강의계획서
과목명 | 교수명 | 교수연락처 | 이메일 | 년도/차시 |
---|---|---|---|---|
자료구조 | 강희영 | 1899-5662 | help@kystudy.co.kr | 2025년 1-8차 |
학습기간 | 강의시간 | 학점 | 평가구분 | 수강대상 강의실 및 주요 수업방법 |
2025년 04월 09일 ~ 2025년 07월 22일 | 15주 | 3 | 상대평가 |
<수강대상>
-고등학교 졸업 이상의 학력자 <주요 수업 방법> -원격강의 (www.kystudy.co.kr/MyCourse) |
평가기준 | ||||||
---|---|---|---|---|---|---|
출석 | 중간고사 | 기말고사 | 과제 | 토론 | 쪽지(OX퀴즈) | 계 |
15% | 25% | 25% | 20% | 10% | 5% | 100% |
과목 수료조건: 총점 60점 이상(60점 미만 F), 출석률 80%이상(출석률 80%미만은 출석과락) |
주요 학사일정 |
|
---|---|
과목개요 | 자료구조의 기본개념을 이해하고, 프로그래밍에서 많이 다루는 자료구조들인 배열, 순차리스트, 연결리스트, 스택, 큐, 트리, 그래프, 해시테이블 등의 개념과 구현방법을 다루고, 정렬 및 탐색알고리즘을 통해 자료구조의 활용을 이해한다. |
수업목표 | ● 자료의 표현방법과 기본 연산, 해당 자료구조가 필요한 상황을 설명할 수 있다.
● 배열과 연결 목록의 표현 방법의 차이를 설명할 수 있다. ● 선형 자료구조인 스택과 큐의 표현 방법을 설명할 수 있다. ● 비선형 자료구조인 트리와 그래프에 대한 표현 방법과 문제 해결 방법의 차이점을 설명할 수 있다. ● 다양한 정렬 방법 및 각 알고리즘을 설명할 수 있다. ● 다양한 검색 방법과 각 알고리즘의 차이를 설명할 수 있다. ● 학습한 자료구조를 이용한 실제 응용 프로그램을 설명할 수 있다. |
상대평가 안내 |
국가평생교육진흥원의 평가인정 학습과정 운영지침(교육부 고시 제2015-85호,2016년1월6일 제정,2016년1월1일 시행)에 따라 성적 평가가 상대평가로 진행되고 있습니다. 상대평가가 진행됨에 따라 원점수에서 학습자의 순위에 따라 백분율로 산정되며 다시 환산되며, A(20%),B(40%),C 이하(40%)의 비율을 기준으로 성적을 부여합니다. 학습자님들의 점수는 최종 점수조정을 거쳐 순위별로 등급에 배당되게 되며 환산점수로 국가평생교육진흥원에 성적보고가 됩니다. (출석률 80%미만,총점수 60점미만은 과락이며 상대평가에서 제외됩니다.) |
주별 | 차시 | 강의(실습ㆍ실기ㆍ실험) 내용 | 과제 및 기타 참고사항 | |
---|---|---|---|---|
제1주 |
|
|||
1차시 | 차시제목 | 자료구조의 개요 |
|
|
학습내용 | - 자료구조와 알고리즘 - 추상 자료형 - 알고리즘의 복잡도 분석 |
|||
학습목표 | - 자료구조의 의미와 중요성 및 알고리즘과의 차이점을 설명할 수 있다. - 알고리즘의 개념과 조건, 표현방법을 설명할 수 있다. - 자료형과 추상자료형의 개념을 설명할 수 있다. - 시간 복잡도의 개념을 설명할 수 있다. |
|||
2차시 | 차시제목 | 재귀호출 |
|
|
학습내용 | - 팩토리얼 - 피보나치 - 하노이탑 |
|||
학습목표 | - 반복과 재귀호출(순환)의 차이점을 비교할 수 있다. - 팩토리얼, 피보나치 수열, 하노이탑에 적용된 재귀호출을 설명할 수 있다. |
|||
제2주 |
|
|||
1차시 | 차시제목 | 배열 |
|
|
학습내용 | - 배열 - 구조체 - 배열을 이용한 다항식 |
|||
학습목표 | - 배열과 구조체의 개념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 배열과 구조체의 차이점을 설명할 수 있다. - 배열을 이용한 다항식 계산을 설명할 수 있다. |
|||
2차시 | 차시제목 | 포인터 |
|
|
학습내용 | - 희소행렬 - 포인터 - 동적 메모리 할당 |
|||
학습목표 | - 희소행렬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 포인터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 동적 메모리 할당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
|||
제3주 |
|
|||
1차시 | 차시제목 | 스택의 구현 |
|
|
학습내용 | - 스택 연산 - 배열 스택 - 동적 스택 |
|||
학습목표 | - 선형 자료구조인 스택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 스택의 연산 방법 및 배열 스택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 스택의 연산 방법 및 동적 스택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
|||
2차시 | 차시제목 | 스택의 응용 |
|
|
학습내용 | - 괄호 검사 - 수식 계산 - 미로 찾기 |
|||
학습목표 | - 스택을 응용하여 괄호 검사를 수행할 수 있다. - 스택을 응용하여 수식 계산을 수행할 수 있다. - 스택을 응용하여 미로 찾기를 수행할 수 있다. |
|||
제4주 |
|
|||
1차시 | 차시제목 | 큐의 구현 |
|
|
학습내용 | - 큐 연산 - 선형 큐 - 원형 큐 |
|||
학습목표 | - 선형 자료구조인 스택과 큐에 대해 비교하여 설명할 수 있다. - 1차원 배열을 이용한 선형 큐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 선형 큐의 오버플로우 문제를 해결한 원형 큐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
|||
2차시 | 차시제목 | 큐의 응용 |
|
|
학습내용 | - 버퍼 - 덱(DEQUE) - 시뮬레이션 |
|||
학습목표 | - 큐의 응용을 통해 문제와 실행결과를 파악할 수 있다. - 선형 자료구조인 덱의 개념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 시뮬레이션을 통해 실행결과를 파악할 수 있다. |
|||
제5주 |
|
|||
1차시 | 차시제목 | 단순연결리스트 |
|
|
학습내용 | - 리스트 연산 - 배열 리스트 - 연결 리스트 |
|||
학습목표 | - 리스트 연산의 개념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 배열을 통해 리스트를 분석할 수 있다. - 연결 리스트를 통해 노드를 파악할 수 있다. |
|||
2차시 | 차시제목 | 연결 리스트의 응용 |
|
|
학습내용 | - 단어 저장 - 특정 값 탐색 - 두 개의 리스트 합침 - 역순 순회 - 다항식 |
|||
학습목표 | - 연결 리스트를 응용하여 단어 저장 구현을 설명할 수 있다. - 연결 리스트를 통해 특정 값 탐색을 수행할 수 있다. - 연결 리스트를 통해 리스트의 합을 설명할 수 있다. - 연결 리스트를 통해 역순 구현을 설명할 수 있다. - 연결 리스트를 통해 다항식 구현을 설명할 수 있다. |
|||
제6주 |
|
|||
1차시 | 차시제목 | 원형 연결 리스트 |
|
|
학습내용 | - 원형 연결 리스트의 삽입과 삭제 - 연결 리스트 스택 |
|||
학습목표 | - 원형 연결 리스트의 삽입 연산과 삭제 연산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 원형 연결 리스트를 응용하여 연결 리스트 스택을 수행할 수 있다. |
|||
2차시 | 차시제목 | 이중 연결 리스트 |
|
|
학습내용 | - 이중 연결 리스트의 삽입과 삭제 - 연결 리스트 큐 |
|||
학습목표 | - 원형 연결 리스트를 통해 이중 연결 리스트의 삽입과 삭제 연산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 연결 리스트를 통해 연결 리스트 큐를 수행할 수 있다. |
|||
제7주 |
|
|||
1차시 | 차시제목 | 이진 트리 |
|
|
학습내용 | - 트리의 이해 - 이진 트리의 개념 - 이진 트리의 표현 |
|||
학습목표 | - 트리의 개념을 설명할 수 있다. - 이진 트리의 개념과 자료구조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 이진 트리의 구현 방법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
|||
2차시 | 차시제목 | 이진 트리의 순회 |
|
|
학습내용 | - 전위 순회 - 중위 순회 - 후위 순회 |
|||
학습목표 | - 이진 트리의 전위 순회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 이진 트리의 중위 순회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 이진 트리의 후위 순회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
|||
제8주 |
|
|||
1차시 | 차시제목 | 중간고사 |
|
|
학습내용 | 중간고사 | |||
학습목표 | 중간고사 | |||
2차시 | 차시제목 |
|
||
학습내용 | ||||
학습목표 | ||||
제9주 |
|
|||
1차시 | 차시제목 | 트리의 응용 |
|
|
학습내용 | - 수식 트리 - 이진 트리 연산 - 스레드 이진 트리 |
|||
학습목표 | - 트리를 응용하여 수식 트리를 해석할 수 있다. - 이진 트리 주요 연산의 개념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 스레드 이진 트리의 개념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
|||
2차시 | 차시제목 | 이진 검색 트리 |
|
|
학습내용 | - 이진 검색 트리 구현 - 이진 검색 트리 삽입 - 이진 검색 트리 삭제 |
|||
학습목표 | - 이진 검색 트리를 C언어로 해석할 수 있다. - 구현된 이진 검색 트리의 삽입 연산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 구현된 이진 검색 트리의 삭제 연산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
|||
제10주 |
|
|||
1차시 | 차시제목 | 히프 |
|
|
학습내용 | - 우선 순위 큐 구현 - 히프의 삽입 및 삭제 |
|||
학습목표 | - 스택과 큐, 우선 순위 큐의 차이를 설명할 수 있다. - 삽입과 삭제연산이 가능한 우선 순위 큐를 C언어로 해석할 수 있다. |
|||
2차시 | 차시제목 | 히프 정렬 |
|
|
학습내용 | - 히프 정렬의 이해 - 히프 정렬의 구현 |
|||
학습목표 | - 히프 정렬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 히프 정렬을 응용한 허프만 코드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
|||
제11주 |
|
|||
1차시 | 차시제목 | 그래프의 개념과 표현 |
|
|
학습내용 | - 그래프 정의 - 그래프 성질 - 그래프 구현 |
|||
학습목표 | - 그래프의 기본 용어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 그래프의 성질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 그래프를 표현하는 방법과 비선형 자료들을 적당한 표현 방법을 선택하여 그래프로 활용할 수 있다. |
|||
2차시 | 차시제목 | 그래프 탐색 |
|
|
학습내용 | - 그래프 탐색의 이해 - 깊이 우선 탐색 - 너비 우선 탐색 - 탐색 분석 |
|||
학습목표 | - 그래프 탐색의 개념을 설명할 수 있다. - 깊이 우선 탐색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 너비 우선 탐색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 탐색을 분석할 수 있다. |
|||
제12주 |
|
|||
1차시 | 차시제목 | 신장트리와 최소비용 신장트리의 개요 |
|
|
학습내용 | - 최소비용 신장트리 - Kruskal 알고리즘 - Prim 알고리즘 |
|||
학습목표 | - 신장트리와 최소비용 신장트리의 개념을 설명할 수 있다. - Kruskal 알고리즘의 결과를 설명할 수 있다. - Prim 알고리즘의 결과를 설명할 수 있다. |
|||
2차시 | 차시제목 | 최단경로와 작업 네트워크 |
|
|
학습내용 | - 최단경로 - Dijkstra 알고리즘 - 위상 정렬 |
|||
학습목표 | - 최단경로를 파악할 수 있다. - Dijkstra 알고리즘을 적용한 결과를 설명할 수 있다. - 위상 정렬의 개념 결과를 설명할 수 있다. |
|||
제13주 |
|
|||
1차시 | 차시제목 | 정렬 알고리즘 1 |
|
|
학습내용 | - 선택 정렬 - 삽입 정렬 - 버블 정렬 - 쉘 정렬 |
|||
학습목표 | - 선택 정렬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 삽입 정렬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 버블 정렬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 쉘 정렬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
|||
2차시 | 차시제목 | 정렬 알고리즘 2 |
|
|
학습내용 | - 합병 정렬 - 퀵 정렬 - 기수 정렬 |
|||
학습목표 | - 합병 정렬의 개념 및 구현된 알고리즘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 퀵 정렬의 개념 및 구현된 알고리즘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 기수 정렬의 개념 및 구현된 알고리즘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
|||
제14주 |
|
|||
1차시 | 차시제목 | 검색 |
|
|
학습내용 | - 순차 검색 - 이진 검색 - AVL 트리 - 2-3 트리 |
|||
학습목표 | - 순차 검색의 개념과 원하는 항목을 파악할 수 있다. - 이진 검색의 개념과 원하는 항목을 파악할 수 있다. - AVL 트리를 통한 검색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 2-3 트리를 통한 검색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
|||
2차시 | 차시제목 | 해싱 |
|
|
학습내용 | - 해싱의 이해 - 해싱 함수 - 충돌과 오버플로우 해결방법 |
|||
학습목표 | - 해싱의 개념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 해싱 함수의 개념과 해싱 함수의 종류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 오버플로우 발생 시 처리 방법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
|||
제15주 |
|
|||
1차시 | 차시제목 | 기말고사 |
|
|
학습내용 | 기말고사 | |||
학습목표 | 기말고사 | |||
2차시 | 차시제목 |
|
||
학습내용 | ||||
학습목표 |
수업 참고사항 | 별도 참고사항이 없습니다. |
---|---|
강의 유형 | 이론중심( V ), 토론, 세미나 중심( ), 실기 중심( ), 이론 및 토론, 세미나 병행( ), 이론 및 실험, 실습 병행( ), 이론 및 실기 병행( ) |
교재 정보 |
교재정보 보기
|
수강후기
교재안내
총 0건교수소개

강희영 교수님
- 직위
- 교수
- 학위
- 수원대학교 정보과학부 컴퓨터과학 학사 수원대학교 컴퓨터학과 석사
- 전공
- 컴퓨터공학 / 정보통신공학 / 정보통신
- 이메일
- hykangtr@naver.com
- 주요경력
- 전 미주직업전문학교 교수
전 씨티칼리지 교수
현 익스터디 강사
- 수상경력
- 대표저서/논문
- 기타사항